중국문화

중국의 춘절 세배돈- 야수이치엔(压岁钱yā suì qián)

나바오 2025. 1. 30. 20:40

 출처:搜狐 2025-01-24 22:44

뱀의 해, 아이들에게 세뱃돈(压岁钱)을 얼마 주는 것이 적절할까요?

이 3가지 "만능 금액", 당신은 어떤 것이 좋다고 생각하나요?

새해가 정말 점점 가까워지고 있으며, 학부모들도 이제 아이들에게 세뱃돈(红包)을 준비할 때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많은 부모들은 세뱃돈을 얼마를 줘야 할지 정확히 알지 못합니다. 너무 적게 주면 적절하지 않다고 느껴지고, 너무 많이 주면 가정의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금액을 잘못 정하면 의미가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새해가 시작되면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세뱃돈을 줍니다. 그런데 이 세뱃돈의 금액이 적절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얼마가 적당할까요?

우선, 세뱃돈의 유래를 살펴보겠습니다.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아주 오래전, 사람들이 섣달그믐날 밤마다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웠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이날 ‘수이(祟 suì )’라는 요괴가 나타나기 때문이었습니다.

어느 집에서 아이가 잠이 들고, 어른이 곁에서 지키지 않으면 ‘수이(祟)’가 와서 그 아이의 머리를 만질 수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수이’에게 머리를 만져진 아이는 종종 열이 나고 병에 걸려 멍해지는 일이 많았다고 합니다.

어느 날, 한 가정에서 부모가 ‘수이’를 지키기 위해 밤을 새우던 중, 낮 동안 너무 피곤했던 탓에 그만 깜빡 잠이 들고 말았습니다. 이를 본 문 밖의 ‘수이’는 이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 했습니다.

그렇게 ‘수이(祟)’는 몰래 방 안으로 들어가, 침대에서 잠든 아이에게 손을 뻗으려 했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 순간, 아이의 베개 옆에서 한 줄기 금빛이 뿜어져 나오며 ‘수이’를 쏘아냈고, 겁에 질린 ‘수이’는 황급히 도망쳤습니다. 알고 보니, 이 금빛은 아이의 베개 옆에 놓여 있던 ‘홍바오(红包, 붉은 봉투)’에서 나온 것이었습니다. 사실 이 ‘홍바오’는 부모가 저녁 식사 후, 심심해하는 아이를 위해 빨간 종이에 구리 동전 8개를 싸서 놀게 했던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가 밖에 나가 ‘수이’에게 해를 입는 것을 막을 수 있었죠.

이 동전을 싼 ‘홍바오’에서 금빛이 뿜어져 나온 이유는 팔선(八仙)의 힘 덕분이었습니다. 팔선은 오래전부터 사람들을 ‘수이’의 피해로부터 보호하고 싶었지만, 신선의 몸으로는 인간 세상에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그러던 중, 팔선은 여덟 개의 구리 동전에 깃들어 ‘수이’를 물리칠 수 있었던 것입니다.이러한 세뱃돈(压岁钱)의 유래를 살펴보면, 아이들에게 ‘8’이라는 숫자의 금액을 주는 것이 매우 적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숫자 ‘8’은 전통 문화에서 ‘부(富)’와 ‘번영(发财)’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8’이라는 숫자는 정말 ‘만능 숫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각자의 상황에 따라 80, 188, 288, 800 등 ‘8’이 들어간 금액을 세뱃돈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8’ 외에도 사실 ‘100’도 만능 숫자입니다. 세뱃돈으로 100을 선택하면 좋은 의미를 담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의 경제적인 부담도 크지 않습니다. 100위안은 어른들 눈에는 큰돈이 아닐 수 있지만, 아이들에게는 여전히 꽤 큰 금액입니다. 또한, ‘100’은 여러 가지 좋은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과거 사람들이 종이돈으로 세뱃돈을 주기 시작했을 때, 주로 100위안 지폐를 사용했는데, 이는 *장수(长命百岁, 백세까지 오래 살다)’를 뜻했습니다.

어릴 적 ‘장명쇄(长命锁, 장수 목걸이)’를 해본 적이 있는 사람들이 많을 것입니다. 당시 사람들은 건강과 장수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으며, 이에 따라 ‘100’이 들어간 세뱃돈을 주면서 아이가 건강하고 병 없이 오래 살기를 기원했습니다.

하지만 ‘100’은 단순히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100’은 ‘완벽함(圆满)’을 상징합니다. 우리가 어떤 일을 할 때 ‘100% 확신이 있다(百分百有把握)’고 말하는 것처럼, 완전함과 성취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또한, ‘100’은 학생들에게 있어 ‘시험에서 100점 만점’을 기원하는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세뱃돈을 주며 매번 시험에서 100점을 받길 바라는 마음을 담을 수도 있습니다. 혹시 *전통적으로 경사스러운 일에는 홀수를 피해야 한다’는 말이 떠오르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100’이 단순히 ‘1’에서 시작되므로 홀수라고 오해하기도 하지만, 사실 ‘100’은 ‘1’과 다릅니다. 전통적으로 ‘1’은 홀수이기 때문에 경사스러운 일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100’은 확실한 짝수로서 기쁜 일에 사용하기에 아주 적절한 숫자입니다. 그러므로, ‘100’은 정말 만능 숫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만능 숫자는 바로 ‘5’입니다.

전통 민속문화에서 ‘5’는 길상(吉祥)의 의미를 많이 담고 있는 숫자로,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오복이 깃들다(五福临门)’입니다. 세뱃돈에 이 의미를 담으면 아이에게 전방위적인 새해 축복을 기원하는 것이 되어, 아주 좋은 숫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또한, 전통 문화에서 ‘5’는 조화와 균형을 상징합니다.

  • 방위는 동(东), 남(南), 서(西), 북(北), 중앙(中) 5가지가 있습니다.
  • 오행(五行)은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로 구성됩니다.
  • 오곡(五谷)도 풍요와 번영을 의미합니다.
  • 오제전(五帝钱, 다섯 황제 시대의 동전)은 액운을 물리치고 복을 부르는 대표적인 부적으로 여겨집니다.

이처럼 ‘5’라는 숫자는 행운과 복을 부르는 강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세뱃돈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절한 숫자입니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5’가 ‘무(无)’와 발음이 같아 ‘아무것도 없다(一无所有)’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무(无)’는 부정적인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 ‘무병무재(无病无灾)’: 병도 없고 재난도 없는 건강한 삶을 기원하는 의미
  • ‘무재무우(无灾无忧)’: 재난과 걱정이 없는 평온한 삶을 기원하는 의미

즉, ‘무(无)’는 삶이 순탄하고 평안하기를 바라는 희망과 축복의 상징이기도 하므로, 꼭 부정적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5’ 역시 세뱃돈에 쓰기 좋은 ‘만능 숫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국의 춘제 세뱃돈(压岁钱)은 단순한 금전적 의미를 넘어,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전하는 아름다운 기원과 축복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뱃돈의 금액을 정할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가급적 길한 의미를 지닌 ‘만능 숫자’를 선택하고, 부정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금액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괜히 돈을 주면서도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일이 없도록, 신중하게 세뱃돈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