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도시의 특성으로 별칭으로 불리우는 곳이 있어요. 어떤 별칭이 있을까요?
1. 상하이(上海) – ‘魔都(módū)’ 🏙️
- 별칭 뜻: 직역하면 ‘마도(魔都)’, 흔히 ‘마법(같은) 도시’ 혹은 ‘매혹적인 도시’라는 뉘앙스로도 해석됨.
- 유래 및 배경:
- 일부에서는 1924년 일본 작가 무라마츠 시후(村松梢風)의 소설 『마도(魔都)』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음.
- 화려한 야경과 급속한 도시 발전으로 ‘마법처럼 변화무쌍한 도시’라는 이미지가 반영되어 붙은 별칭으로도 여겨짐.
2. 쿤밍(昆明) – ‘春城(chūnchéng)’ 🌸
- 별칭 뜻: ‘춘성(春城)’, 즉 ‘봄의 도시’.
- 유래 및 배경:
- 윈난(云南)성의 성도(省都)인 쿤밍은 사시사철 기후가 온화하여 ‘사계절이 봄 같다’는 의미에서 이 별칭이 생김.
- 연평균 기온이 높고, 극단적인 더위나 추위가 드물어 여행객들에게도 ‘봄 같은 도시’로 유명함.
3. 충칭(重庆) – ‘山城(shānchéng)’ 🏔️
- 별칭 뜻: ‘산성(山城)’, 즉 ‘산의 도시’.
- 유래 및 배경:
- 쓰촨 분지 주변에 위치해, 지형이 매우 험준하고 경사가 심한 산지가 많음.
- 도시가 언덕과 계곡을 따라 발달해, 건물들이 층층이 높이 솟아 있는 모습이 특징.
4. 하얼빈(哈尔滨) – ‘冰城(bīngchéng)’ ❄️
- 별칭 뜻: ‘빙성(冰城)’, 즉 ‘얼음의 도시’.
- 유래 및 배경:
- 중국 동북지역의 대표적 겨울 관광지로, 매년 열리는 빙등(氷灯) 축제와 얼음 조각 축제로 유명함.
- 겨울철 기온이 영하 30도 이하로 떨어지기도 하며, 하얼빈의 겨울 풍경이 아름답다고 하여 붙은 별칭.
5. 광저우(广州) – ‘羊城(yángchéng)’ 🐑
- 별칭 뜻: ‘양성(羊城)’, 즉 ‘양(염소)의 도시’.
- 유래 및 배경:
- 전설에 따르면 예전부터 다섯 마리의 염소가 신선(神仙)을 태우고 광저우에 내려왔다고 전해짐.
- 이 전설 때문에 광저우의 상징물로 양(염소) 조각이 세워져 있으며, 도시의 이명도 ‘양성’이 됨.
6. 우한(武汉) – ‘江城(jiāngchéng)’ 🌊
- 별칭 뜻: ‘강성(江城)’, 즉 ‘강의 도시’.
- 유래 및 배경:
- 양쯔강(长江)과 한수이(汉水)가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물의 도시’, ‘강의 도시’라는 별칭이 붙음.
- 또 다른 이명으로는 ‘九省通衢(jiǔ shěng tōng qú)’가 있는데, ‘아홉 성(省)의 길목’이라는 뜻으로 교통의 요충지임을 나타냄.
7. 베이징(北京) – ‘帝都(dìdū)’ 🏯
- 별칭 뜻: ‘제도(帝都)’, 즉 ‘황제의 도시’ 혹은 ‘제국의 수도’.
- 유래 및 배경:
- 명·청 시대에 황제가 거주하던 ‘자금성’이 위치한 전통적 수도이며, 중국의 정치·문화 중심지라는 점에서 유래.
- 현대 인터넷 문화에서도 베이징을 가리켜 ‘帝都’라는 표현을 종종 사용함.
8. 시안(西安) – ‘古都(gǔdū)’ 🏛️
- 별칭 뜻: ‘고도(古都)’, 즉 ‘오랜 역사를 지닌 수도’.
- 유래 및 배경:
- 주, 진, 한, 당 등 여러 왕조가 도읍을 정했던 도시로, 3천 년 이상의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음.
- 병마용(兵马俑), 장안(长安) 등의 역사·문화 유산이 풍부해 ‘중국 고대 왕조의 수도’를 상징.
9. 선전(深圳) – ‘鹏城(péngchéng)’ 🦅
- 별칭 뜻: ‘붕성(鹏城)’, 전설 속 큰 새(붕, 鹏)에서 유래.
- 유래 및 배경:
- ‘鹏(붕)’은 장자의 「소요유(逍遥游)」에 등장하는 거대한 새로, 먼 바다까지 비상한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음.
- 작은 어촌이었던 선전이 개혁개방 이후 급속히 성장하며 ‘크게 도약한 도시’라는 이미지와 결부됨.
10. 청두(成都) – ‘蓉城(róngchéng)’ 🌺
- 별칭 뜻: ‘용성(蓉城)’, ‘꽃목련(芙蓉)의 도시’라는 의미.
- 유래 및 배경:
- 청두는 ‘푸융(芙蓉)’(부용: 연꽃의 일종)으로도 불리며, 시가(市花)가 목련의 일종인 ‘芙蓉花’임.
- 이 때문에 ‘蓉城’이라 하면 ‘청두’를 가리키는 별칭으로 널리 쓰임.
- 또한 ‘천부지국(天府之国)’이라 불릴 정도로 비옥한 쓰촨 분지 지역의 대표도시이기도 함.
11. 항저우(杭州)·쑤저우(苏州) – ‘人间天堂(rénjiān tiāntáng)’ 🌄
- 별칭 뜻: ‘인간 세상의 천당’, 즉 ‘지상낙원’.
- 유래 및 배경:
- 예부터 “하늘엔 천당(天堂), 땅엔 쑤항(苏杭)”이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자연경관이 아름답고 생활 환경이 쾌적하다는 뜻에서 유래.
- 서호(西湖), 졸정원(拙政园) 등 명승지로 유명한 관광지이며, 오래전부터 시인·화가들의 극찬을 받아옴.
위와 같은 도시 별칭은 중국의 다양한 지역성을 이해하고, 각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작은 창구가 됩니다. 여행이나 공부 목적으로 중국 여러 지역을 탐방할 때, 별칭의 배경을 미리 알고 가면 더욱 풍부한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주요 50개 도시의 별칭
- 北京(Běijīng) : 帝都 (dì dū) 🏰
- ‘황제의 수도’라는 뜻. 명·청대 황제가 거주한 수도로 중국의 정치·문화 중심지.
- 上海(Shànghǎi) : 魔都 (mó dū) 🌆
- ‘마도(魔都)’, 급속한 발전과 화려한 도시 풍경으로 ‘마법 같은 도시’라는 이미지.
- 武汉(Wǔhàn) : 江城 (jiāng chéng) 🌊
- 양쯔강(长江)과 한수이(汉水)가 합류하는 강의 도시.
- 重庆(Chóngqìng) : 山城 (shān chéng) ⛰️
- 산지가 많은 험준한 지형의 도시로 건물들이 층층이 배치됨.
- 广州(Guǎngzhōu) : 穗城 (suì chéng) 🌾
- ‘穗(벼 이삭)’에서 유래된 별칭. 농업 전설과도 관련 있고, ‘양성(羊城)’이라 부르기도 함.
- 深圳(Shēnzhèn) : 鹏城 (péng chéng) 🦅
- 장자(庄子)의 거대 신조(神鳥) ‘붕(鹏)’에서 유래. 개혁개방 이후 비약적 발전의 상징.
- 济南(Jǐnán) : 泉城 (quán chéng) 💧
- ‘샘의 도시’. 곳곳에 샘물이 솟는 것으로 유명하며 ‘72개 명천(名泉)’로도 알려짐.
- 成都(Chéngdū) : 蓉城 (róng chéng) 🌸
- ‘부용(芙蓉)의 도시’. 시(市)꽃이 목련의 일종(芙蓉花)이며, ‘천부지국(天府之国)’이라 불릴 만큼 비옥함.
- 西宁(Xīníng) : 夏都 (xià dū) ☀️
- ‘여름 수도’라는 뜻. 해발이 높고 기온이 비교적 서늘해 여름 피서지로 유명.
- 大连(Dàlián) : 滨城 (bīn chéng) 🏖️
- 해안가(바닷가)에 인접해 ‘해변 도시’라는 별칭을 가짐.
- 沈阳(Shěnyáng) : 盛京 (shèng jīng) 🏯
- 청(清) 왕조 초기의 수도였던 ‘번창하는 수도(盛京)’. 만주의 중심 도시.
- 西安(Xī’ān) : 古城 (gǔ chéng) 🏛️
- ‘고도(古都)’. 주·진·한·당 등 여러 왕조가 도읍했던 역사 깊은 도시.
- 洛阳(Luòyáng) : 神都 (shén dū) ⛩️
- ‘신도(神都)’. 한때 신성시되었던 수도로, 중국 문명 발상지 중 한 곳.
- 贵阳(Guìyáng) : 林城 (lín chéng) 🌳
- ‘숲의 도시’. 구이저우(贵州)성 특유의 풍부한 산림 지형 반영.
- 大同(Dàtóng) : 平城 (píng chéng) 🏞️
- 옛 북위(北魏) 때 ‘평성(平城)’으로 불렸던 유구한 역사 도시.
- 保定(Bǎodìng) : 靴城 (xuē chéng) 👢
- ‘부츠 도시’라는 별칭.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으나, 고대 무장의 부츠 형태 지도 등에서 기인한 설이 유명.
- 沧州(Cāngzhōu) : 狮城 (shī chéng) 🦁
- ‘사자 도시’. 무술(특히 우슈)과 관련된 전통, 사자춤 등 지역문화에서 유래.
- 昆明(Kūnmíng) : 春城 (chūn chéng) 🌺
- ‘봄의 도시’. 사시사철 온난해 사계절이 봄 같다는 뜻.
- 南宁(Nánníng) : 绿城 (lǜ chéng) 🌲
- ‘녹색 도시’. 녹음이 풍부하고 환경이 쾌적해 붙은 별칭.
- 长沙(Chángshā) : 星城 (xīng chéng) ⭐️
- ‘별의 도시’. 하늘의 별처럼 야경이 아름답다는 등의 다양한 유래 설이 존재.
- 青岛(Qīngdǎo) : 岛城 (dǎo chéng) 🏝️
- 해안에 인접한 섬들과 항구로 유명해 ‘섬 도시’로 불림.
- 太原(Tàiyuán) : 龙城 (lóng chéng) 🐉
- ‘용의 도시’. 역사적으로 명장·명문가가 많이 나왔다는 의미도 있음.
- 兰州(Lánzhōu) : 金城 (jīn chéng) 💰
- ‘금성(金城)’. 황허(黄河) 상류의 요충지로서 역사적·군사적 의미도 포함.
- 宁波(Níngbō) : 甬城 (yǒng chéng) ⚓
- ‘용(甬)의 도시’. 닝보의 약칭 ‘甬(융)’에서 유래, 항구도시로 발전.
- 百色(Bǎisè) : 鹅城 (é chéng) 🦢
- ‘거위 도시’. 지역 설화 및 민족 문화와 연관된 별칭.
- 福州(Fúzhōu) : 榕城 (róng chéng) 🌳
- ‘용나무(榕) 도시’. 푸저우 전역에 가로수가 많은데, 이 ‘榕(롱)나무’가 상징임.
- 苏州(Sūzhōu) : 水城 (shuǐ chéng) 💧
- ‘물의 도시’. 수로가 발달하고 정원·운하 등 물 풍경으로 유명.
- 温州(Wēnzhōu) : 路城 (lù chéng) 🛣️
- ‘길 도시’. 옛 지명 ‘동구(东瓯)’에서 비롯된 별칭 중 하나로, 상업과 교통의 요충지.
- 杭州(Hángzhōu) : 杭城 (háng chéng) 🏞️
- 항저우 자체를 줄여 부르는 명칭으로, ‘인간계의 천당(人间天堂)’이란 별칭으로도 유명.
- 徐州(Xúzhōu) : 彭城 (péng chéng) 🎉
- ‘팽성(彭城)’. 고대부터 군사·교통의 요충지로 유구한 역사를 지님.
- 烟台(Yāntái) : 港城 (gǎng chéng) ⚓
- ‘항구 도시’. 산둥반도의 대표적 항구도시 중 하나.
- 绍兴(Shàoxīng) : 越城 (yuè chéng) 🏺
- ‘월나라 도시’. 춘추전국시대 월나라의 중심지였으며, 역사와 술·공예 전통이 깊음.
- 丽水(Lìshuǐ) : 莲城 (lián chéng) 🌸
- ‘연꽃 도시’. 수자원이 풍부하고 연꽃 경관이 아름다워 붙은 이름.
- 包头(Bāotóu) : 鹿城 (lù chéng) 🦌
- ‘사슴 도시’. 청대(清代) 때부터 내려온 지역 전설과 지명 유래가 있다 함.
- 郴州(Chēnzhōu) : 福城 (fú chéng) 🍀
- ‘복의 도시’. 지리적 위치와 유서 깊은 풍습 등으로 ‘길상(吉祥)’ 이미지.
- 衡阳(Héngyáng) : 雁城 (yàn chéng) 🦢
- ‘기러기 도시’. 매년 철새(기러기)가 이 지역을 거쳐 간다는 전통 기록.
- 泸州(Lúzhōu) : 酒城 (jiǔ chéng) 🍶
- ‘술의 도시’. 중국 백주(白酒) 양조와 술 문화로 전국적으로 유명.
- 柳州(Liǔzhōu) : 壶城 (hú chéng) 🍵
- ‘호(壶) 도시’. 리장(柳江) 강물이 포트(주전자)처럼 휘감는 형상을 띤다는 말에서 유래.
- 绵阳(Miányáng) : 涪城 (fú chéng) 🌊
- ‘부성(涪城)’. 시내를 흐르는 부장강(涪江)에서 비롯된 옛 이름.
- 南充(Nánchōng) : 果城 (guǒ chéng) 🍎
- ‘과일 도시’. 사천 분지의 비옥한 토양 덕에 과일 생산이 풍부.
- 扬州(Yángzhōu) : 江都 (jiāng dū) 🏞️
- ‘강도의 수도’. 양쯔강(长江) 북안에 자리 잡은 역사적 번영 도시.
- 郑州(Zhèngzhōu) : 商都 (shāng dū) 💼
- ‘상도(商都)’. 중원(中原) 지역의 교통·물류 중심지, 상업 발달.
- 抚顺(Fǔshùn) : 煤都 (méi dū) ⛏️
- ‘석탄 수도’. 동북 지역의 주요 석탄 생산지로 성장.
- 南阳(Nányáng) : 玉都 (yù dū) 💎
- ‘옥의 도시’. 고품질 옥의 산지로 전해지는 등, 역사적 유물도 풍부.
- 鞍山(Ānshān) : 钢都 (gāng dū) 🏭
- ‘강철의 도시’. 랴오닝(辽宁)성의 대표적 중공업(제철) 생산 기지.
- 长春(Chángchūn) : 汽车城 (qìchē chéng) 🚗
- ‘자동차 도시’. 중국 1세대 자동차 공장(제1자동차공사)이 위치해 자동차 산업 중심지.
- 南京(Nánjīng) : 石头城 (shítóu chéng) 🪨
- ‘돌의 도시’. 양쯔강변 절벽에 돌 성벽이 많아 붙은 옛 명칭.
- 拉萨(Lāsà) : 日光城 (rìguāng chéng) 🌞
- ‘햇빛의 도시’. 해발이 높고 연간 일조량이 풍부해 붙은 별칭.
- 哈尔滨(Hā’ěrbīn) : 冰城 (bīng chéng) ❄️
- ‘얼음 도시’. 겨울이 춥고 길며, 빙등·얼음 축제 등 겨울 관광으로 유명.
- 景德镇(Jǐngdézhèn) : 瓷都 (cí dū) 🏺
- ‘도자기의 도시’. 중국 대표 자기도자 공예의 중심지로 세계적으로 명성 높음.
위 50개 도시는 각기 유서 깊은 전설, 지리적 특성, 문화·산업적 배경 등에 힘입어 이처럼 독특하고 함축적인 ‘雅称(별칭)’을 갖고 있습니다. 해당 이모지(emoji)와 함께 살펴보시면 도시별 이미지를 더욱 직관적으로 떠올리실 수 있을 것입니다.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즈종류 중국어로 알아보자! (0) | 2025.02.03 |
---|---|
春节 (Chūn Jié) 중국어 (0) | 2025.01.28 |
중국 스타벅스에서 커피 주문하기 (0) | 2025.01.22 |
호랑이도 제말하면 온다 “说曹操,曹操到” (0) | 2025.01.03 |
春节不打烊(Chūnjiébùdǎyàng) (0) | 2024.12.31 |